1. HTML ( Hypertext Markup Language )
HTML은 웹페이지의 구조를 결정한다.
이 구조만으로는 웹페이지를 보기 좋게 꾸미거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만들기는 힘들다.
그렇기 때문에 HTML을 예쁘게 꾸미거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 CSS와 자바스크립트라는 보조 기술을 사용해야 한다.
2. CSS ( Cascading Style Sheets)
CSS는 이 문서를 꾸며 글꼴, 배경색, 위치, 너비와 높이 등을 지정하거나 웹 브라우저, 스크린 크기, 장치에 따라서 화면을 다르게 표시될 수 있도록 지정하는 것이다.
사용법
1. HTML 안에서 style 속성을 이용하는 방법
2. <style> 태그를 통해 HTML 문서 내부에서 이용하는 방법
3. 별도로 CSS 파일을 분리하여 HTML의 문서에 연결하는 방법
이 중 여러 문서를 수정하기에는 2, 3번이 좋고 그 중에서도 3번으로 작성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.
3. backend
백엔드는 웹 사이트나 앱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"뒷단"에 해당한다. 즉 백엔드 개발이란,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영역인 데이터베이스나 서버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. 우리가 웹 사이트나 앱을 사용하면서 정보를 요청하고 결과를 받을 때, 이 정보의 처리와 저장은 백엔드에서 이루어진다.
회원가입 기능, 게시물 업로드 기능 등이 있다.
언어 : 자바, 파이썬, C언어
4. frontend
프론트엔드는 웹 사이트나 앱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"앞단"에 해당한다. 웹 사이트를 방문하면 우리는 시각적인 디자인과 상호작용을 경험한다.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러한 디자인과 상호작용을 만들어낸다. 예를 들어,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, 색상, 글꼴, 버튼 등의 디자인은 프론트엔드에서 개발된다. 또한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거나 양식을 작성할 때, 이러한 동작을 처리하는 것도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역할이다.
5. DataBase
데이터의 저장소이다. 이 저장소를 데이터 베이스 관리 어플 DBMS를 통해 관리 한다.
DBMS는 관계형, 망형, 계층형이 있다.
6. SQL
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로, ‘에스큐엘’ 또는 ‘시퀄’로 읽는다. 관계형 DBMS 중 MySQL를 배우려면 SQL을 필수로 요한다. SQL이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‘언어’이긴 하지만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(C, 자바, 파이썬 등)와는 조금 다른 특성을 갖는다.
표준 SQL 을 알고 있으면 DBMS 를 해석할 수 있다.
7. Bug(버그)
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이다.
8. Error(에러)
프로그램이 오작동 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를 말하며, 발생시점에 따라 '컴파일 에러' / '런타임 에러'로 나눌 수 있다. 컴파일에 문제가 없고, 싱행도 잘 되지만 의도한 것과 다르게 동작하는 '논리적 에러'도 있다.
9. 클라이언트
고객???
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라는 컴퓨터 시스템상의 원격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말한다.
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차이가 있으며 간단하게 클라이언트는 '서비스 요청자'이고 서버는 '서비스 제공자'이다.
10. API (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
요청하기.
애플리케이션은 고유한 기능을 가진 모든 소프트웨어를 말한다.
open api 키를 발급해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.
카카오 api. 페이스북 api, 네이버 api 등등 이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데이터 뿐만 아니라 광고등 스크롤링이 필요할 때 데이터화 한 자료를 얻어 낼 수 있는 '키' 이다.